미국 주식 투자 시 활용되는 유용한 사이트 정리
1. 재무재표 분석 시 유용한 사이트
- 잉여현금흐름
- 현금보유액
- 보유 현금으로 가능한 배당지급연수
- FCF 기준 배당 성향
- 기업의 대출이율과 연관된 기업 신용 등급
마이크로트렌즈
잉여현금흐름 (Free cash flow)
1) 구글 검색
구글에 검색하는게 최고...
구글에서 원하는 기업+free cash flow 라고 검색하면 마이크로트렌즈와 야후 파이낸스 내 해당 기업 잉여현금흐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 야후 파이낸스의 경우, 마이크로트렌즈보다 세부적인 정보가 많아 마이크로트렌즈 > 야후 파이낸스 순으로 정보를 확인한다.
현금보유액 (Cash on hand)
1. 마이크로트렌즈
왠만한 정도는 microtrends에서 확인 가능하다. Assets & Liabilities (자산과 부채) -> Cash on hand (현금보유액) 메뉴 클릭.
모두가 알고 있는 부채 = Debt이 아니라 당황할 수 있다. Loan, Liabilities, Debt 모두 직역하면 부채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으니 참고.
Loan = 부채로 알기 쉽지만 사실 "대출" 자체 사전적인 의미.
Liabilities = 자동차 구매 시, 자동차 할부 + 자동차의 감가상각까지 포함. 넓은 의미의 부채로 회계상으로 쓰임
Debt = 은행빚, 카드빚..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빚. "갚아야 될 돈" 정도로 이해
배당지급연수
1. 인베이스팅 닷컴 (Investing.com)
1년간 기업이 제공해야하는 배당금은 발행주식수 * 주당 배당금이고, 기업의 발행 주식수는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.
위에서 확인한 현금보유액과 비교하면 배당금이 계속 나올지, 아니면 배당이 안 나오니 매도할지 (배당금 헷지 포지션인 경우) 판단할 수 있다.
2. 디바이든 (Dividend.com)
배당성향
일반 배당성향의 경우 상기 정보들로도 판단가능하지만, 리츠 기업이라면 세금 보고 목적으로 감가상각을 지출 사업 비용으로 간주한다. (따라서, 대차대조표 확인 시 당기 순이익보다 감가상각이 더 큼). 그러므로 리츠 기업의 배당성향을 확인하려면 하기 2가지 조건을 확인해본다.
FFO - 순이익에 감가상각 반영
AFFO - 순이익에 감가상각반영 시, 렌트비, 자본지출, 유지보수비를 추가
해당 기업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한다.
https://www.realtyincome.com/about-realty-income/company-overview/default.aspx
신용평가등급 확인
1. 무디스
회원가입 후,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다. 해당 사이트에서 장, 단기 신용등급 확인 가능.
아마존의 경우 애플보다 낮은 A1 신용 등급을 가지고 있다.
댓글